플랜128풀빌라

PLAN128

Gallery

포토갤러리

스레드 짤 문화, 뭘까? (인스타 쓰레드 사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Stephanie 작성일25-04-02 07:31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96코어 쓰레드 #192쓰레드 #CPU #AMD #쓰레드리퍼 #PRO #7995WX #파쓰점수 #타쓰점수​​​가끔 RTX 4090이 4개 장착된 시스템이 저희 스튜디오로 들어오면 다들 각기 다른 감상평을 보입니다. ​​​​​저희 디자이너의 경우엔 경우엔 저걸로 배그 돌려보고 싶다&quot고 하기도 하고, ​​​영상팀에서는 저걸로 렌더링 돌리면 빠를까?&quot와 같은 생각을 하곤 하죠.​​​​​​오늘 준비한 물건도 컴퓨터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관심가질만한 물건이라 생각합니다.​​​​무려 96코어 192쓰레드의 괴물 CPU, 라이젠 스레드리퍼 PRO 7995WX의 성능은 어떨지 직접 테스트 해보고, CPU를 활용한 연산에서의 성능은 어떨지, 그리고 영상편집 성능은 과연 어떨지 한번 돌려보도록 하겠습니다.​​​​이번에 새로 출시 된 스레드리퍼 시리즈의 코드네임은 스톰 픽으로, 저희가 준비한 7995WX는 그 중에서도 최상급 제품입니다.​​​ i9 14900K나 7950X3D가 범접할 수 없는 현존 끝판왕 CPU라고 할 수 있죠.​​​​​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박스 디자인인데요, 기존 라이젠의 상징과도 같은 주황색 박스에서 회색 박스로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습니다. 뒤에는 구멍이 뚫려있어 CPU가 들어있는 걸 확인할 수 쓰레드 있죠.​​​​박스를 열면 AMD라고 써져있는 완충재가 가장 먼저 보이고요, ​​​​이 완충재를 꺼내면 그 안에 CPU가 들어있습니다. ​​기존 패키징은 약간 뚱뚱한 (아이스크림)하드 바 같은 디자인이었다면, 이번 패키징은 기존에 비해 꽤나 심플해졌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초기 스레드리퍼가 휘황찬란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죠. ​구성품은 스레드리퍼 본품, 전용 별나사 드라이버, 브라켓, 스티커가 있습니다.​​​​​​CPU의 제원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PU 제원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PRO 5995WX (샤갈 프로)AMD(소켓sWRX8)4세대(Zen3)7nm64코어 /128스레드 2.7GHz(베이스클럭) /4.5GHz(최대부스트) L2 캐시 32MB /L3 캐시 256MB TDP 280W /PCIe4.0 128레인 메모리채널 8채널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PRO 7995WX (스톰 픽)AMD(소켓sTR5)5세대(Zen4)5(6)nm96코어 /192스레드 2.5GHz(베이스클럭) /5.1GHz(최대부스트) L2 캐시 96MB /L3 캐시 384MB TDP 350W /PCIe5.0 148레인 메모리채널 8채널 ​​​이전 세대와 가장 달라진 점이라면 역시 기존 64코어에서 96코어로 1.5배 더 많은 코어를 탑재했다는 것이겠죠? ​​​이 외에도 달라진 점을 한번 살펴보면, 소켓 이름이 sTR5로 변경되었고, ​​​​​​​ 클럭은 줄었지만 쓰레드 부스트 클럭은 전작보다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또, L2캐시와 L3캐시도 더 늘어났습니다.​​​​​그리고, TDP가 280W에서 350W로 크게 올랐습니다. ​​​근데 i9 14900K가 전력제한을 해제했을 때 360W를 먹는다는 걸 생각하면.. 96코어 CPU가 350W 먹는 것 쯤은 별 거 아닌 가 싶기도 하네요. ​​​아무튼 i9 14900K를 충분히 쿨링해줄 수 있는 크라켄 360이나 아트모스 360에 상응하는 최상급 쿨링 시스템이 필요한 시스템이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CPU쿨러는 이전 샤갈 프로에서 지원하는 TR4 계열 쿨러들을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바뀐 점이 많아 과연 성능은 어떨지 기대가 되는데요, ​​​​과연 96코어 괴물 CPU의 성능은 어떨지! 한번 테스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테스트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성능 테스트 스펙 -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PRO 7995WX (스톰 픽) (정품)ASUS PRO WS TRX50-SAGE WiFi삼성전자 DDR5-4800 ECC/REG (64GB) x8GIGABYTE 지포스 RTX 4090 WINDFORCE D6X 24GBTeamGroup T-Force CARDEA ZERO Z440 M.2 NVMe (1TB)케이스 리안리 PC-T70 (오픈 케이스)쿨러마스터 쓰레드 M2000 80plus PLATINUM 230V 풀모듈러​YJMOD LIQUID COOLINGAlphacool Eisblock XPX Aurora PRO - Acryl Chrome Digital RGBAlphacool NexXxoS XT45 Full Copper 360mm RadiatorAlphacool Eisbecher Aurora D5 Acetal/Glas - 250mm inkl. Alphacool VPP Apex D5ALPHACOOL ES120 PWM 1000-4000rpm FAN x3​​​​먼저 CPU의 성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시네벤치 R23을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테스트 결과,스레드리퍼 7995WX멀티코어 104,138점싱글코어 1,679점으로 기존 영상에서 5995WX가​멀티코어 67,510점​​​​싱글코어 1,454점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멀티코어 점수는 가히 놀라울 정도로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습니다. 54%의 성능 향상에 멀티코어가 10만점이라니.. ​​​​인텔 i9 14900K의 멀티 점수가 3만 8천점 가량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웬만한 하이엔드 CPU를 압도하는 엄청난 점수인 것은 분명합니다.​​​​​싱글 코어 점수도 클럭과 공정 개선등의 이유로 15%가량 향상되었습니다. 전작보다 성능은 확실히 좋아졌네요. 성능 확실하죠?​​​​​시네벤치 2024에서도 테스트를 한번 진행해보았습니다.멀티코어 4,591점싱글코어 109점으로 멀티코어 점수가 인텔 i9 13900K의 무려 2.4배 가량 높은 점수를 마크하였습니다. 시네벤치 점수를 보니 벌써부터 이 쓰레드 컴퓨터로 영상편집을 해 보면 어떤 느낌일지 기대가 됩니다.​​​​​다음은 CPU의 스레드 별로 성능을 볼 수 있는 3Dmark CPU PROFILE의 테스트 결과입니다.​​​​​테스트 결과,Max스레드 스코어 25,387점16스레드 13,197점8스레드 7,095점4스레드 3,752점2스레드 2,100점1스레드 1,050점을 마크하였습니다.​​​​​5995WX를 리뷰했을 당시의 점수도 한 번 보시면,각각 18,497점, (37.25%)11,063점, (19.29%)5,826점, (21.78%)3,099점, (21.07%)1,505점, (39.53%)874점이었습니다. (20.14%)​​​​​전체적으로 20% 이상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Max스레드 점수와 2스레드 점수는 각각 37%, 39%의 성능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성능 벤치마크는 이정도면 충분한 것 같으니 실제 작업 시의 성능은 과연 어떨지 확인해보도록 합시다!​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은 제가 얼마 전 영상으로 소개드린 7995WX에 RTX 4090이 4장 장착된 딥러닝용 수랭 워크스테이션입니다! ​​​​심지어 메모리도 1TB가 탑재되어있습니다. SSD도 아니고 메모리가 1TB라니.. 이 워크스테이션의 스펙 어마어마하죠? ㅎ​​먼저 영상 및 이미지처리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측정해보았습니다. 측정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Bilateral Filter (ms) Median Filter (ms)Difference of Gaussian Filter (ms) Laplacian of Gaussian Filter (ms) Coherence Enhancing Diffusion (ms) 쓰레드 Guided Filter (ms) ​​​​​테스트 결과,Bilateral Filter (바이래터럴 필터)5995WX 189.18ms7995WX 117.58ms​Median Filter (메디안 필터)5995WX 11.41ms7995WX 8.92ms​Difference of Gaussian Filter (디프런스 오브 가우시안 필터)5995WX 863.47ms7995WX 182.92ms​Laplacian of Gaussian Filter (라플라시안 오브 가우시안 필터)5995WX 846.18ms7995WX 176.12ms​Coherence Enhancing Diffusion (코우히런스 인핸싱 디퓨전)5995WX 2630.34ms7995WX 1282.89ms​Guided Filter (가이드 필터)5995WX 87.62ms7995WX 86.29ms로​​​​​각각 161%, 128%, 472%, 480%, 205%, 102%만큼의 성능 향상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가우시안 필터를 활용하는 작업에서 그 진가가 발휘된다는 거!​​​​​자, 가우시안 필터 계열의 작업에서 괄목할만한 성능을 보여주었다면 영상편집 성능이 어떤지 더욱 궁금해지지 않나요?​프리미어와 애프터이펙트에서 렌더링도 한 번 돌려보았습니다.​여기부터는 단순히 궁금해서 테스트 해 본 것이니 재미로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교는 제가 마침 테스트 중이었던 14700K 컴퓨터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테스트 결과,i7 14700K 색보정 56초, 예능편집 34초7995WX 색보정 50초, 예능편집 37초로 96코어 CPU를 사용하는 게 전혀 의미 없었습니다.​뭐, 예상한 결과이긴 하지만 그래도 좀 허무하네요.이걸로 직접 편집도 해 쓰레드 봤는데요, CPU의 코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저 같은 효과를 넣을 때 연산이 훨씬 빨리 끝나 원활한 작업이 가능했습니다. ​확실히 이런 부분이 좋긴 좋더라고요, CPU 가격만 1500만원인데 영상편집하는데 끊기면...크흠.. 이건 프리미어가 잘못한 것 같습니다.​퀵싱크를 통한 하드웨어 가속의 도움을 받지 못 하니, 아무리 코어가 많아도 결국엔 한계가 있었습니다. 프리뷰에서 차이점을 느낄 수 없어, 드라마틱한 차이를 느낄 수도 없었습니다.​​​​​애펙 렌더링도 한 번 돌려보았습니다.i7 14700K 3분 33초7995WX 2분 10초로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애펙이 몇년 전 멀티프레임 렌더링이 업데이트 되고 나서 코어 개수가 정말 중요한 프로그램이 되었거든요. 한가지 재밌는 점이라면, 램을 쭉쭉 먹는다는 점이었습니다. 아쉽게도 캡처본은 없지만 1TB나 되는 메모리를 절반 이상, 그니까 메모리를 500GB 넘게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근데.. 코어를 8개만 쓰는 거 같은 건 기분탓이겠죠?​​​​​​자, 오늘은 7995WX의 성능을 확인해보고 영상및 이미지처리 알고리즘들의 성능과 영상편집 성능도 확인해보았는데요.​전작인 5995WX가 쓰레드 천만원 정도였었는데, 그 당시에도 CPU 하나가 경차 가격이라는 건 조금 납득하기 어렵다 했었습니다. ​​​​이번 7995WX는 더욱 비싸져서 돌아왔습니다. 이 CPU의 가격을 확인해보면, CPU 값만 1,500만원이 넘습니다.​일반 사용자가 이 CPU를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겁니다. 96코어를 전부 활용하는 프로그램도 드물 뿐더러,하지만 96코어를 전부 활용할 수 있다면 이 만한 CPU가 없습니다. ​​​​벤치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듯이 정말 역대급의 성능을 보여주는 만큼 그 가치는 충분히 입증되었다고 생각합니다.​​​​​이 컴퓨터로 게임도 한 번 돌려보고 싶었지만 영상 분량상 넣지 못 했습니다. ​요청이 많다면 나중에 한 번 테스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오늘 리뷰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저 송실장인 이만 물러가도록 하겠습니다. ​​​성능 좋고 안정적인 워크스테이션을 찾으시나요? 그렇다면 영재컴퓨터의 워크스테이션 전문가! 저 송실장에게 연락주세요!​워크스테이션은 영재컴퓨터! 아시죠?리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영재컴퓨터] #하이엔드 #조립컴퓨터 #커스텀수냉 #YJMOD #영재컴퓨터 #조립P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